고용보험법에서 실업급여를 수급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중 하나는 비자발적 퇴사입니다. 다음은 비자발적 퇴사의 구체적인 사례와 기준입니다.1. 비자발적 퇴사로 인정되는 경우 ■ 정년퇴직: 근로자가 근무하던 회사에서 정년에 도달하여 퇴직한 경우.정년은 회사의 취업규칙, 단체협약, 근로계약서 등에 명시된 기준에 따름. ■ 희망퇴직: 회사가 경영상의 이유로 희망퇴직자를 모집하고, 근로자가 이에 동의하여 퇴사한 경우.희망퇴직은 권고사직의 일종으로 간주되며, 회사의 요청에 따라 이뤄진 것이므로 비자발적 퇴사로 인정. ■ 명예퇴직: 회사가 정년 이전에 일정 조건(근속 연수, 연령 등)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퇴직을 권유하여 근로자가 이를 수락한 경우.경영상의 필요 또는 회사의 구조조정으로 인해 발생한 퇴사이므로 비자발적 ..

만 60세 이상 실업급여 수급자의 경우 일반 수급자와 다르게 구직활동 내용이 다릅니다. 이직일 기준으로 만 60세 이상인 분들은 실업인정 과정에서 구직활동 외에도 구직 외 활동인 취업특강 시청만으로 실업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 관련 내용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만 나이 계산기 만 나이 계산기 출생 연도: 출생 월: 출생 일: 계산 2. 실업급여 기본 사항 실업급여는 비자발적 퇴사와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요건을 충족한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급 기간은 연령과 가입 기간에 따라 최대 270일, 금액은 하루 61,568원~66,000원(2023년 기준)입니다. 만 60세 이상은 취업특강 시청 등으로 구직활동을 대체할 수 있어 요건이 완화됩니다. 실업급여는 재취업을 준비하는 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