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 시장의 변화와 퇴직 연령 증가로 인해 만 65세 이후에도 근로를 이어가는 시니어 근로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업급여와 고용보험은 만 65세 이후에 일부 조건이 달라질 수 있어, 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수급 자격을 놓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용보험법 제10조를 중심으로, 고령 근로자들이 알아야 할 실업급여의 주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만 65세 이후 실업급여의 제한 고용보험법 제10조에 따르면, 만 65세 이후 새롭게 고용된 근로자는 실업급여와 육아휴직급여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고용보험이 노령 연금과의 중복 수급 방지, 보험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도입된 규정입니다.따라서, 근로자가 만 65세 이후에 처음으로 고용되거나 고용 계약을 체결한 경우, 실업급여 대..

퇴사 후 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근무 기간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을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 많은 근로자들이 "퇴사 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이라는 조건에 대해 헷갈리거나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주휴일 포함 여부와 실제 근무 일수를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1. 실업급여 대상자 확인: 기본 요건 ① 퇴사 전 18개월 이내에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 퇴사 후 12개월 이내 실업급여 신청 필수 ③ 근무일 계산 시 주휴일(일요일 포함)을 포함해 주 6일 기준으로 산정. ④ 따라서 단순히 "6개월"이 아닌, 7~8개월 근무가 필요할 수 있음.2. 피보험단위기간이란? 피보험단위기간은 근로자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동안 실제로 일한 날과 유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