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한쟁의심판 뜻, 쉽게 이해하는 개념과 예시
우리나라에서 헌법은 국가 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각자의 권한을 행사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기관 간 권한이 충돌하거나, 한 기관이 다른 기관의 권한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가 권한쟁의심판입니다. 헌법재판소가 판단하여 기관 간 권한 다툼을 해결하고, 헌법에 따라 올바른 권한 행사가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1. 권한쟁의심판이란?
권한쟁의심판은 국가 기관, 지방자치단체 또는 선거관리위원회 등이 헌법에 의해 부여된 권한을 침해당했을 때 이를 다투기 위해 헌법재판소에 심판을 청구하는 절차입니다.
2. 누가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있나?
헌법재판소법 제61조에 따르면 다음 기관들이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국가기관 간: 국회, 대통령, 법원, 헌법재판소 등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의 명령을 따를 의무가 있는지 다툴 경우
- 지방자치단체 간: 두 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권한 문제로 다툴 경우
제61조(청구 사유)
① 국가기관 상호간,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간 및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에 권한의 유무 또는 범위에 관하여 다툼이 있을 때에는 해당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심판청구는 피청구인의 처분 또는 부작위(不作爲)가 헌법 또는 법률에 의하여 부여받은 청구인의 권한을 침해하였거나 침해할 현저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할 수 있다.
3. 권한쟁의심판이 필요한 이유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는 헌법과 법률에 의해 각자의 역할과 권한이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권한 다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한 기관이 법에 명시되지 않은 권한을 행사할 경우
- 한 기관이 다른 기관의 권한을 침해하거나 제한할 경우
- 국가기관 간 또는 지방자치단체 간의 법적 해석이 서로 다를 경우
4. 실제 권한쟁의심판 사례
1) 대통령과 국회
■ 입법권 다툼
- 국회가 특정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대통령이 이에 대해 "위헌적이므로 서명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법 시행이 지연되었습니다.
- 국회는 "대통령이 입법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헌법재판관 선출 다툼(현재 진행 중인 다툼)
-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 임명을 대통령 권한대행이 거부하였습니다.
- 국회가 권한쟁의심판을 헌법재판소에 청구하였습니다.

2)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간 갈등>
- 서울시가 독자적인 부동산 정책을 시행하려 했으나, 정부가 이를 제재했습니다.
- 서울시는 "지방자치법에 따라 우리는 정책을 결정할 권한이 있다"며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국회의장 단독 결정의 적법성 논란>
- 국회의장이 국회 본회의 의결 없이 특정 사안을 결정했을 경우
- 야당이 "국회의 권한을 침해한 것"이라 주장하며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4)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
- 특별시·광역시·도 또는 특별자치도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
- 시·군 또는 자치구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
- 특별시·광역시·도 또는 특별자치도와 시·군 또는 자치구 간의 권한쟁의심판
5. 권한쟁의심판의 진행 절차
권한쟁의심판청구는 피청구인의 처분 또는 부작위가 헌법 또는 법률에 의하여 부여받은 청구인의 권한을 침해하였거나 침해할 현저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할 수 있다. 권한쟁의심판의 청구서에는 ① 청구인 또는 청구인이 속한 기관 및 심판수행자 또는 대리인의 표시, ② 피청구인의 표시, ③ 심판대상이 되는 피청구인의 처분 또는 부작위, ④청구이유, ⑤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적어야 한다. 권한쟁의심판은 그 사유가 있음을 안 날부터 60일 이내에, 그 사유가 있은 날부터 180일 이내에 청구하여야 한다.
- 심판 청구: 권한 침해를 주장하는 기관이 헌법재판소에 청구
- 변론: 각 기관이 자신들의 입장을 설명
- 헌법재판소의 판단: 헌법에 따라 해당 권한이 누구에게 있는지 결정
- 결정 선고: 권한쟁의심판의 최종 결론이 발표됨
6. 권한쟁의심판의 의의
권한쟁의심판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국가기관 간 권력 균형 유지: 기관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헌법적 질서를 확립
- 헌법 수호: 헌법에서 정한 권한을 정확히 적용하여 법적 안정성 유지
- 행정 효율성 확보: 불필요한 권한 다툼을 줄이고 신속한 정책 집행 가능
7. 마무리
권한쟁의심판은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간의 권한 충돌을 해결하는 중요한 법적 절차입니다. 기관 간의 갈등이 발생했을 때 헌법재판소가 이를 중립적으로 심판하여 헌법적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도 권한쟁의심판은 국가기관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헌법적 가치를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