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너또다, 별다줄, 애빼시, MZ 세대 신조어 총정리

말많은 떠벌이 2025. 1. 21. 22:46
반응형

MZ 세대는 새로운 트렌드와 문화를 만들어가며 고유의 언어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까지 등장한 MZ 세대 신조어를 총정리하여 소개하겠습니다. 신조어의 뜻과 활용법을 이해하고, 소통에서 활용해 보세요!

 


1. 줄임말 신조어

 

1) 너또다

† 뜻: "너 또 다이어트 하니?"의 줄임말.

† 사용: 다이어트를 자주 시작하지만 성과가 없는 사람을 놀리거나 나무랄 때 사용.

† 예시: "너또다? 이번엔 얼마나 할 거야?"

 

2) 별다줄

 : "별걸 다 줄인다"의 줄임말.

 사용: 과도한 줄임말 사용을 비꼴 때 사용.

 예시: "요즘 애들은 진짜 별다줄을 너무 써!"

 

3) 갑통알

 : "갑자기 통장 보니 알바해야겠다"의 줄임말.

 사용: 예상치 못한 지출로 인해 돈이 부족한 상황을 표현.

 예시: "갑통알이라 이번 주말엔 알바 좀 더 해야겠어."

4) 억텐

 : "억지 텐션"의 줄임말.

 사용: 의도적으로 과장된 흥을 표현하거나 분위기를 띄울 때 사용.

 예시: "억텐 좀 그만하고 차분하게 말해봐."

 

5) 내또출

 : "내일 또 출근"의 줄임말.

 사용: 출근에 대한 아쉬움과 피로를 표현할 때 사용.

 예시: "내또출이라니... 벌써부터 월요병이 온다."

6) 혼코노

 : "혼자 코인 노래방"의 줄임말.

 사용: 혼자 코인 노래방을 즐길 때 사용.

 예시: "혼코노 하면서 스트레스 다 풀었어!"

7) 만반잘부

 : "만나서 반가워, 잘 부탁해"의 줄임말.

 사용: 온라인에서 처음 인사할 때 사용.

 예시: "안녕하세요, 만반잘부예요!"

8) 꾸안꾸

 : "꾸민 듯 안 꾸민 듯"의 줄임말.

 사용: 자연스럽지만 신경 쓴 스타일링을 지칭.

 예시: "오늘 패션 꾸안꾸 스타일로 멋지다!"

 

9) 분좋카

 : "분위기 좋은 카페"의 줄임말.

 사용: 분위기가 좋은 카페를 추천하거나 묘사할 때 사용.

 예시: "분좋카 추천 좀 해줘. 분위기 좋은 데 가고 싶어."

 

 

10) 스불재

 : "스스로 불러온 재앙"의 줄임말.

 사용: 본인의 잘못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

 예시: "이건 완전 스불재야. 내가 괜히 나섰어."

 

11) 알잘딱깔쎈

 : "알아서 잘 딱 깔끔하게 센스 있게"의 줄임말.

 사용: 일을 완벽히 처리하라는 뜻으로 사용.

 예시: "이번 프로젝트 알잘딱깔쎈으로 부탁드립니다."

 

12) 중꺽마

 :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의 줄임말.

 사용: 목표를 향한 끈기를 강조할 때 사용.

 예시: "중꺽마 정신으로 끝까지 포기하지 마."

 

13) 애빼시

 : "애교 빼면 시체"의 줄임말.

 사용: 애교가 많고 애교로 주목받는 사람을 표현할 때 사용.

 예시: "그 친구는 애교가 넘쳐서 애빼시야."


반응형

2. 새로운 표현 신조어

 

1) 갓생

: "신처럼 모범적으로 사는 삶"을 의미.

사용: 자기계발에 열중하거나 열심히 사는 삶을 지칭.

예시: "올해는 갓생 살면서 자기계발에 집중할 거야."

 

2) 삼귀다

: 사귀기 전 단계에서 친밀감을 쌓는 상황.

사용: 연애 초기 단계를 묘사할 때 사용.

예시: "우리 아직 삼귀는 중이야. 좀 더 알아가야 해."

 

3) 쫌쫌따리

: 조금씩 모아가는 모습.

사용: 절약하거나 천천히 모으는 상황에서 사용.

예시: "쫌쫌따리 모았더니 이제 목표 금액에 도달했어."

 

4) 킹받다

: 열받다를 강조한 표현.

사용: 짜증나는 상황에서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

예시: "너무 느리게 일처리해서 킹받았어."

 

5) 잼민이

: 초등학생을 지칭하는 유머러스한 단어.

사용: 어린아이를 귀엽게 부르거나 놀릴 때 사용.

예시: "우리 동생은 잼민이라 아직 초딩 감성이야."

 

6) 플렉스 (Flex)

: 자랑하거나 과시하는 행위를 뜻함.

사용: 물질적 소비를 뽐내거나 자랑할 때 사용.

예시: "이번에 명품백 샀어? 제대로 플렉스 했네!"


3. 외국어에서 유래된 신조어

 

1) GOAT (고트)

: "Greatest Of All Time"의 약어로, 역대 최고를 의미.

사용: 최고의 사람이나 물건을 칭찬할 때 사용.

예시: "이 축구 선수는 진짜 GOAT야. 역사상 최고라고!"

 

 

2) 홀리몰리

: 영어 감탄사 "Holy Moly"에서 유래.

사용: 놀라움이나 충격을 표현할 때 사용.

예시: "홀리몰리, 이번 시험 진짜 어렵네!"


4. 라이프스타일 신조어

 

1) 싱크족

: "Single Income, No Kids"의 줄임말로, 한 명의 소득으로 자녀 없이 살아가는 사람.

사용: 독신이거나 결혼 후 자녀를 두지 않고 개인적인 삶을 중시하는 사람들을 지칭.

예시: "나는 싱크족이라 취미와 자기계발에 돈을 아낌없이 쓰고 있어."

 

 

2) 딩크족

: "Double Income, No Kids"의 줄임말로, 맞벌이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

사용: 자녀를 두지 않고 둘만의 삶을 즐기며 소비와 라이프스타일에 집중하는 부부를 지칭.

예시: "딩크족답게 이번 휴가엔 해외여행으로 풀충전하고 왔어."

 

3) 듀크족

: "Dual Unemployed Couple"의 줄임말로, 둘 다 일을 쉬며 여유를 즐기는 부부.

사용: 경제적 여유를 바탕으로 직장을 쉬며 여유를 즐기는 부부를 지칭.

예시: "듀크족 부부는 캠핑카로 전국 여행 다니며 힐링 중이래."

 

 

4) 딩펫족

: 자녀 대신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삼아 살아가는 부부.

사용: 반려동물을 자녀처럼 사랑하며 함께 생활하는 부부를 지칭.

예시: "우리는 딩펫족이라 강아지 간식이나 장난감에 아낌없이 투자해."

 


5. 유머와 비유 신조어

 

1) 별다줄

: 줄임말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을 풍자.

사용: 줄임말이 과도하게 사용된 상황을 비꼴 때 사용.

예시: "요즘 애들 별다줄 심해.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겠어!"

 

 

2) 억지미

: 억지로 꾸며낸 미모를 비꼬는 표현.

사용: 과도한 성형이나 꾸밈을 비판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

예시: "저 사진 필터 너무 심한데? 완전 억지미야."

 

3) 투머치토커 (TMI)

: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을 비유.

사용: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정보를 말할 때 사용.

예시: "이런 디테일까지 말해야 해? 완전 투머치토커네."


6. 결론

 

MZ 세대의 신조어는 변화하는 문화와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며 언어의 새로움을 창조합니다. 이 글에서 소개된 신조어를 활용해 트렌디한 소통을 즐겨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