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당귀잎 효능과 부작용: 건강을 위한 활용법 및 주의사항

말많은 떠벌이 2024. 12. 24. 09:56
반응형

당귀(Angelica gigas Nakai)미나리과(Api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한국의 산지와 습지에서 자생하며 약용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생물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당귀와 뿌리(출처: 농사로, 이달의 농업기술)

■ 학명: Angelica gigas Nakai

분류

 

  • 계: 식물계 (Plantae)
  • 문: 속씨식물문 (Angiospermae)
  • 강: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
  • 목: 미나리목 (Apiales)
  • 과: 미나리과 (Apiaceae)
  • 속: 당귀속 (Angelica)

형태

 

  • 높이: 1~2m
  • 줄기: 곧게 서며 속이 비어 있고, 전체적으로 자줏빛이 돕니다.
  • 잎: 1~2회 3출 깃꼴겹잎으로, 잎자루가 길고,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겹 톱니가 있습니다.
  • 꽃: 8~9월에 자주색 꽃이 겹산형꽃차례로 피며, 작은 산형꽃차례가 1520개 모여 있습니다.
  • 열매: 분과로, 넓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날개 같은 능선이 있습니다.

분포 및 서식지

 

  • 분포: 한국 전역의 산지와 습지에서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와 일본에도 분포합니다.
  • 서식지: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주로 자랍니다.

1. 당귀의 역사

당귀(當歸)는 동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약초로, 특히 여성 건강과 관련된 효능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당귀는 약 2,000년 전 고대 중국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주로 여성의 생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었습니다. 또한, '당귀'라는 한자는 '마땅히 돌아온다'는 뜻으로, 전쟁에 나간 남편이 무사히 귀환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의학적 활용: 한의학에서 당귀는 주로 여성의 혈액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당귀가 혈액을 맑게 하고 순환을 돕는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생리통, 갱년기 증상, 빈혈 등에 특히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당귀는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문화적 의미: 당귀는 '여성의 친구'로 불리며, 시집가는 신부가 반드시 챙겨야 할 상비약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처럼 당귀는 역사적으로 여성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문화적 의미를 지니며, 전통 의학에서 중요한 약재로 자리매김해 왔습니다.


2. 과학적 연구를 통한 현대에서의 재발견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당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당귀의 항산화 작용과 면역 증진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당귀가 단순히 전통 약재에 그치지 않고, 현대인의 건강을 위한 자연 성분으로 자리 잡게 했습니다.

1) 순환 기능 강화(출처: JKOM)

 

  • 혈액 순환 개선: 당귀는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는 빈혈 증상 완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당귀 추출물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2) 여성 건강 증진(출처: ScienceON)

 

  • 생리통 및 생리 불순 개선: 당귀는 전통적으로 생리통 완화와 생리 주기 조절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 갱년기 증상 완화: 당귀의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이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염증 억제 및 세균 방지(출처: DBpia)

 

  • 항염증 효과: 당귀 유래 쿠마린계 화합물인 글라브라락톤(glabralactone)은 염증 유발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냅니다.

4) 면역력 강화(출처: JKOM)

 

  • 다당류 성분의 면역 증진 효과: 당귀에 함유된 다당류는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5) 기억력 증진(출처: Ajou DSpace)

  • 데커신의 신경 보호 효과: 당귀의 주요 성분인 데커신(decursin)은 신경 세포 보호 및 인지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당귀 활용법

 

 차로 활용: 깨끗이 세척한 당귀잎을 건조시켜 차로 우려 마십니다. 당귀차는 혈액 순환 개선과 면역력 증진에 탁월한 효과를 보입니다. 특히 스트레스를 줄이고, 피로 회복을 돕는 차로 알려져 있어 현대인의 일상에 적합한 건강 음료입니다. 당귀차를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1. 잎 손질: 당귀 잎을 깨끗이 씻고 물기를 제거한 뒤, 2~3cm 크기로 잘게 썰어 준비합니다.
  2. 덖음과 식힘 반복: 팬을 약불로 달군 후 잘게 썬 당귀 잎을 넣고 수분이 날아갈 때까지 약 10분 동안 볶아줍니다. 이 과정을 온도를 점차 낮춰가며 덖음과 식힘을 반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3. 가향 처리: 향을 강화하기 위해 3회에 걸쳐 가향 처리를 합니다.
  4. 찜기 사용: 찜기를 이용하여 잠재우기 과정을 거칩니다.
  5. 우려내기: 뜨거운 물 1L에 당귀 잎 3스푼을 넣고 약 10분간 연하게 우려낸 후 마십니다.

 발효액 제조: 당귀잎과 설탕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100일간 숙성시킵니다. 다음은 발효액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1. 설탕과 섞기: 당귀 잎과 흑설탕을 1:1 비율로 넣고 나물을 무치듯 섞어, 흑설탕이 당귀 잎 구석구석 잘 묻도록 버무립니다.
  2. 병에 담기: 버무린 당귀 잎을 병에 담아 뚜껑으로 밀봉한 후 상온에 보관합니다.
  3. 발효 과정: 하루에 한 번씩 잘 섞어주며, 약 100일 동안 발효시킵니다.
  4. 불순물 제거: 발효가 완료되면 체를 이용해 불순물을 걸러내고 발효액만 따로 보관합니다.

■ 요리에 첨가: 삼계탕, 당귀김치, 오징어 당귀전 등 요리에 뿌리나 잎을 첨가하면 맛과 영양을 더할 수 있습니다.

 

오징어 당귀잎전 요리(출처: 만개의 레시피)
당귀 김치(출처: 만개의 레시피)


■ 당귀잎 쌈채소로 먹는 법: 쌈채소로 고기와 함께 쌈채소로 드실 수 있습니다.

 

  1. 쌈채소로 사용: 당귀 잎을 씻어 신선한 상태로 고기와 함께 쌈채소로 사용합니다.
  2. 특별한 풍미: 육고기나 민물고기의 비린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독특한 한약 향이 음식의 풍미를 더해줍니다.

4. 당귀 부작용

 

일반적으로 소화장애, 구토,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처음 섭취 시 적은 양으로 시작하며 체질에 따라 조절합니다. 또한 당귀는 혈액을 묽게 하는 성질이 있어 출혈 경향이 있는 사람이나 수술 전후에는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또한, 과도한 섭취는 소화 불량이나 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정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주요 부작용입니다.

 

  1. 혈압약 복용 중: 당귀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혈압약과 함께 복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출혈 질환: 항응고 효과가 있어 출혈 위험이 있는 사람은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3. 임신 중: 에스트로겐 성분이 있어 임산부는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4. 알레르기 반응: 피부 발진, 가려움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5. 항암제나 면역억제제 복용 중: 당귀 섭취 전 반드시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6. 소화기 민감성: 소화 기능이 약한 경우, 과도한 섭취는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니 적정량을 유지해야 합니다.

임산부, 수유 중인 여성, 특정 약물을 복용 중인 사람은 당귀 섭취 전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5. 마무리

 

당귀는 혈액 순환, 여성 건강, 면역력 강화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는 귀한 약재입니다. 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 소개된 내용을 참고하여 건강한 일상 속에 당귀를 활용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