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우리는 공룡을 이야기할 때 "육식공룡", "초식공룡" 혹은 "수각류", "용각류"라는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용어들은 단순한 외형이나 식습관을 넘어, 공룡의 진화적 관계와 공통 조상, 분기 지점까지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처럼 공룡 분류에 쓰이는 용어는 ‘생김새’보다 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를 정확히 이해해야만 다양한 공룡을 비교하고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수각류(Theropoda)’는 단순히 육식공룡이 아니라, 티라노사우루스부터 벨로키랍토르, 심지어 조류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류입니다. ‘조반류(Ornithischia)’는 이름은 '조류형 골반'을 뜻하지만, 실제 조류와는 별 관련이 없습니다. 이런 혼란을 막기 위해 분류학 용어를 정확히 정리하고, 그 과학적 기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블로그는 공룡 분류에 사용되는 주요 용어들을 정리하고, 각 용어가 어떤 기준으로 나뉘는지, 그리고 대표적인 공룡 예시는 무엇인지 설명합니다. 모든 용어는 이후 상세 블로그에서 확장 설명되며, 실제 공룡 설명 글에서도 링크로 연결됩니다.

     

    출처: opengeology.org


    1. 공룡 분류의 기본 체계

     

    공룡의 분류는 기본적으로 계통발생학(Phylogenetics)에 기반하며, 이는 공통 조상으로부터의 분기와 진화적 특성을 기준으로 계열을 나눕니다. 아래는 공룡 분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구분입니다.

     

    용반류(Saurischia)

    • '도마뱀 골반'이라는 뜻
    • 골반 구조에서 치골이 앞을 향함
    • 수각류(Theropoda)와 용각류(Sauropodomorpha)가 포함됨
    • 대부분 이족보행, 육식 또는 초식 다양
    • 예시: 티라노사우루스, 벨로키랍토르, 브라키오사우루스

    아래 그림에서 동물은  왼쪽을 향하고 오른쪽에 꼬리가 있습니다. 골반의 세 개의 뼈는 장골이 파란색(위), 치골이 빨간색(아래 왼쪽) 그리고 좌골이 노란색(아래 오른쪽)으로 표시함

     

    출처: https://archosaurmusings.wordpress.com/

     

    조반류(Ornithischia)

    • '조류 골반'이라는 뜻이나 실제 조류와는 무관
    • 치골이 장골과 평행하게 뒤로 향함
    • 대부분 초식성, 사회성 발달
    • 예시: 트리케라톱스, 스테고사우루스, 하드로사우루스

    아래 그림에서 동물은  왼쪽을 향하고 오른쪽에 꼬리가 있습니다. 골반의 세 개의 뼈는 장골이 파란색(위), 치골이 빨간색(아래 왼쪽) 그리고 좌골이 노란색(아래 오른쪽)으로 표시함

     

     

    출처: https://archosaurmusings.wordpress.com/

     

    조류(Aves)

    • 수각류 내에서 분기된 진화된 후손
    • 깃털, 공기주머니, 경량 골격 등 공룡의 특징을 계승
    • 예시: 현대의 모든 새 (비둘기부터 독수리까지)

     

    이 구분은 단순히 외형이 아니라, 뼈의 구조와 계통적 관계를 통해 정의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세부 분류가 이어지며, 그 용어들은 다양한 공룡 설명에 사용됩니다.

     

    ■ 참고

    용반류(Saurischia), 조반류(Ornithischia), 그리고 조류(Aves)의 골반 구조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이트몇 가지 자료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1. OpenGeology.org의 'Dinosaur Classification' 섹션: 이 페이지에서는 용반류와 조반류의 골반 구조 차이를 설명하며, 각 골반의 형태를 비교하는 그림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두 그룹의 골반 구조를 직접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2. Archosaur Musings 블로그의 'Dinosaur pelves – that ornithischian / saurischian thing' 게시물: 이 블로그 게시물은 용반류와 조반류의 골반 구조를 나란히 비교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어, 두 그룹의 골반 차이를 한눈에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Smithsonian Magazine의 'Dinosaur Division is All in the Hips' 기사: 이 기사에서는 용반류와 조반류의 골반 구조를 비교하는 그림과 함께, 각 골반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대표 분류 용어와 정의

     

    아래 표는 공룡 설명에 자주 등장하는 분류 용어를 한글/영문/간단 정의로 정리한 것입니다.

     


    3. 공룡 사례와 분류 적용

     

    실제 공룡 이름을 볼 때, 그 이름만으로도 계통적 위치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 티라노사우루스: 수각류(Theropoda), 용반류, 이족보행, 육식
    • 브라키오사우루스: 용각류(Sauropodomorpha), 초식, 사족보행
    • 파라사우롤로푸스: 하드로사우루스류(Hadrosauridae), 조반류, 초식
    • 트리케라톱스: 케라톱시아(Ceratopsia), 조반류, 네 발 걷기
    • 벨로키랍토르: 마니랍토라(Maniraptora), 깃털 보유, 수각류

    이처럼 분류 용어는 공룡이 어떤 무리인지, 생태적 역할이 무엇이었는지를 추론하는 핵심 정보입니다. 특히 ‘마니랍토라’나 ‘아비알래’와 같이 조류와 연결되는 용어는 현대 생물학과의 연결점도 제시합니다.


    4. 계통도

     

    용어 간 관계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면 이해가 쉬워집니다. 대표 계통도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Dinosauria (공룡류)

    ├── Ornithischia (조반류) - '새의 골반' 형태, 실제 새와 무관
    │   ├── Thyreophora (방패 공룡류)
    │   │   ├── Stegosauria (스테고사우루스류)
    │   │   └── Ankylosauria (안킬로사우루스류)
    │   ├── Heterodontosauridae (이형치류)
    │   ├── Ornithopoda (조각류)
    │   └── Cerapoda (케라포다류)
    │       ├── Pachycephalosauria (두꺼운 머리 공룡류)
    │       └── Ceratopsia (뿔 공룡류)

    └── Saurischia (용반류) - '도마뱀의 골반' 형태
        ├── Sauropodomorpha (용각형 공룡류)
        │   ├── Plateosauridae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 Diplodocoidea (디플로도쿠스류)
        │   └── Sauropoda (용각류)
        │       ├── Macronaria (대형코 공룡류)
        │       └── Titanosauria (티타노사우루스류)
        │
        ├── Herrerasauria (헤레라사우루스류) - 초기 공룡
        │
        └── Theropoda (수각류) - 대부분 육식 공룡
            └── Tetanurae (견고 꼬리 공룡류)
                ├── Ceratosauria (케라토사우루스류)
                ├── Allosauroidea (알로사우루스상과)
                ├── Megalosauroidea (메갈로사우루스상과)
                └── Coelurosauria (척골 공룡류)
                    └── Maniraptora (손잡이 공룡류)
                        └── Aves (조류, 현대 새 포함)

     


    5. 마무리 및 다음 예고

     

    이번 글에서는 공룡 분류에 쓰이는 주요 계통 용어들을 정리하고, 각 용어가 지닌 의미를 실제 공룡 사례와 함께 소개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공룡이 살았던 시대와 관련된 용어 —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 같은 지질시대 구분과 각 시대의 환경적 특징 — 을 다룰 예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