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스킴플레이션"은 ‘인색하게 굴다’는 뜻의 Skimp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Inflation의 합성어로, 가격은 그대로지만 상품이나 서비스의 질이 눈에 띄게 낮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고물가 시대에 기업들이 원가 부담을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전가하지 않고, 대신 서비스 축소·품질 저하·양 감소 등의 간접적인 방식으로 대응할 때 나타납니다. 소비자는 같은 가격에 이전보다 못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셈입니다.
1. 스킴플레이션 뜻
"스킴플레이션"은 가격을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질, 서비스 범위, 제공 시간 등을 은근히 줄이는 방식으로,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 상승을 초래합니다. 포장 크기는 같지만 내용물은 줄어들거나, 고객 서비스가 간소화되는 등의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뜻: 가격은 그대로지만 상품이나 서비스의 질이 낮아지는 인플레이션 현상
유사 표현: 서비스 축소, 질적 인플레이션, 체감 물가 상승
관련 신조어: 슈링크플레이션, 언노운플레이션, 리포지셔닝
2. 스킴플레이션 유래
"스킴플레이션"은 2021년 미국 경제 미디어를 중심으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로, 코로나19 이후 고물가 상황에서 기업들이 가격 인상 대신 서비스 질을 은근히 낮추는 방식을 택하면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이는 소비자 심리에는 직접적인 가격 인상보다 덜 위협적으로 느껴지지만, 실질적 구매 가치는 줄어드는 현상으로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3. 스킴플레이션 예시
스킴플레이션은 패스트푸드, 항공, 식음료, 통신 등 다양한 생활 밀착 산업에서 쉽게 발견되며, 소비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에 손해를 입는 구조로 작동합니다.
† 햄버거 세트 가격은 그대로인데, 감자튀김 양이 줄어듦
† 호텔 숙박료는 유지되었지만, 룸청소 서비스가 생략됨
† 통신 요금은 동일하지만, 무료 데이터 제공량이 축소됨

4. 스킴플레이션 한자 및 영어 표현
스킴플레이션은 외래어 조합 신조어로 공식 한자 표기는 없지만, 의미상으로는 은밀한 인플레이션(隱密한 物價上昇) 또는 질적 감소 현상(質的減少現象)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영어권에서는 Skimpflation이라고 그대로 사용되며, 언론과 경제 리포트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한자 표현: 隱密物價上昇, 質的縮小消費
영어 표현: "Skimpflation", "Hidden inflation", "Quality-down inflation"
"스킴플레이션"은 소비자가 알아채기 힘든 방식으로 생활의 질을 낮추는 은밀한 인플레이션으로, 체감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제 신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