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빅블러"(Big Blur)는 ‘크다(Big)’와 ‘희미하다(Blur)’가 합쳐진 신조어로, 산업 간의 경계가 점점 사라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기업들이 기존 업종의 틀을 넘어 다양한 산업에 진출하고, 생산자와 소비자, 온·오프라인, 대기업과 스타트업 등의 구분이 흐려지는 현상을 포괄합니다. 빅블러 현상은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이 융합하는 새로운 시장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1. 빅블러 뜻과 개념
빅블러는 산업과 산업, 기업과 기업 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융합되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는 기술 발전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인해 기존의 구분이 점차 희미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 분리되었던 시장이 연결되고, 기업들은 한 가지 산업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면서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정의: 산업 간 경계가 흐려지고 융합되는 현상
관련 용어: 디지털 전환, 산업 융합, 경계 붕괴
대표 사례: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 스타벅스 사이렌 오더, 콜라보 마케팅
2. 빅블러의 유래
빅블러라는 개념은 『당신이 알던 모든 경계가 사라진다』(조용호 저)에서 처음 제시되었습니다. 저자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존 산업 간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으며, 기업들은 전통적인 업종 구분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기업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3. 빅블러 사례
빅블러 현상은 다양한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들은 기존의 영역을 넘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 넷플릭스(Netflix): DVD 대여 서비스에서 시작해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전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까지 확장
† 테슬라(Tesla):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에너지 저장, 태양광 사업까지 확장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산업을 선도
† 애플(Apple): 스마트폰 제조업체에서 금융(Apple Pay), 콘텐츠(Apple TV+), 헬스케어(Apple Watch 헬스 기능)까지 사업 확대
† 카카오(Kakao): 메신저 서비스에서 금융(카카오뱅크), 모빌리티(카카오택시), 콘텐츠(카카오페이지)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 삼성(Samsung): 가전·반도체 기업에서 바이오·의료(삼성바이오로직스), AI·자율주행 기술까지 사업 다각화
† 현대자동차(Hyundai): 자동차 제조업을 넘어 로보틱스(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UAM(도심항공 모빌리티) 분야 진출

4. 빅블러가 가져올 변화
경계가 사라지는 빅블러 현상은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기업들은 전통적인 시장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보다 편리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산업의 경계가 흐려지는 만큼, 규제와 법률적 이슈도 함께 고려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빅블러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산업과 경제 구조를 변화시키는 거대한 흐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