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나마에 대한 압박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취임 후 첫 해외 방문국으로 파나마를 찾아 “중국의 운하 장악을 막아야 한다”고 경고했죠. 이에 따라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일대일로 협정 연장을 포기하고, 중국 기업의 항구 운영권 연장 계획도 철회할 것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트럼프가 언급한 관련 내용을 모아 보았습니다.

     

     

     

    ◎ 2024년 12월 24일, 트럼프 소셜미디어 발언

    • “중국군이 파나마 운하 운영” 주장
    • “미국은 파나마에 운하 반납, 중국에 반납한 것 아님” 발언

     

    2025년 1월 20일, 트럼프 취임식 연설

    • “파나마 운하를 되찾을 것” 선언
    • “중국이 파나마 운하 운영, 미국이 이를 용납할 수 없음” 주장

     

    2025년 1월 31일, 트럼프 백악관 연설

    •  “운하를 되찾아오겠다” 발표
    • “파나마 운하는 미국의 전략적 자산” 강조
    • “중국의 경제적 침투 저지 필요” 언급

     

    2025년 2월 2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파나마 방문

    • 호세 라울 물리노 대통령과 회담
    • “중국의 운하 장악 저지” 경고
    •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 일대일로 협정 연장 포기 발표
    • 발보아항·크리스토발항 운영권 철회 검토

     

    2025년 2월 3일, 트럼프, “필요한 조처를 할 것” 발언

    •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은 용납할 수 없다” 언급

     

    2025년 2월 5일, 트럼프, 유세 연설에서 “우리는 파나마를 되찾을 것이다” 발언

    •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이 파나마를 장악하도록 놔뒀다” 비판
    • “미국의 운하이며, 미국의 자산” 주장
    • “중국이 돈으로 파나마를 사들이고 있다” 경고
    • 트럼프 행정부, 파나마 압박 본격화
    • 미국, 파나마의 친중 정책 철회 유도

    2. 미군과 파나마 운하의 전략적 중요성

     

    파나마 운하는 미군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이동하는 핵심 통로입니다. 중국이 운하를 장악하면 유사시 미 해군의 전략적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어요. 특히 홍콩 CK 허치슨 홀딩스가 운영하는 발보아항과 크리스토발항은 중국의 군사적 활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3. 채무 함정과 중국의 영향력 확대

     

    중국은 파나마에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하면서 경제적 종속을 유도하는 채무 함정 외교를 활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스리랑카가 중국에 항구 운영권을 넘긴 사례와 유사하죠.

     

    파나마 국가 개요

     

    구분 설명
    국가명 파나마 공화국 (República de Panamá)
    위치 중앙아메리카, 코스타리카와 콜롬비아 사이
    수도 파나마시티 (Panama City)
    면적 약 75,417㎢
    인구 약 450만 명 (2024년 기준)
    공식 언어 스페인어
    종교 가톨릭(70%), 개신교(25%) 등
    정부 형태 대통령제 공화국
    현 대통령 호세 라울 물리노 (José Raúl Mulino, 2024년 취임)
    정치 체제 다당제 민주주의, 5년 임기의 대통령제
    주요 정당 민주혁명당(PRD), 파나메니스타당, 민주변화당(CD)
    경제 체제 자유시장 경제, 서비스업 중심
    GDP (명목) 약 800억 달러 (2024년 기준)
    1인당 GDP 약 18,000달러 (2024년 기준)
    주요 산업 물류(파나마 운하), 금융, 무역, 관광, 건설
    주요 수출품 바나나, 새우, 커피, 전자제품, 의약품
    주요 수입품 원유, 기계, 소비재, 자동차
    화폐 단위 발보아 (PAB), 미국 달러 (USD) 실질적 통용
    무역 파트너 미국, 중국, 유럽연합, 일본, 콜롬비아
    실업률 약 8% (2024년 기준)
    사회 지표 문해율 95%, 도시화율 67%
    빈곤율 약 20% (2024년 기준)
    기대 수명 약 77세
    주요 사회 문제 부정부패, 경제 불평등, 마약 밀매, 범죄율 증가
    교통 인프라 파나마 운하, 국제 항만, 도로·철도 확충 중
    외교 관계 미국과 밀접한 관계
    2017년 중국과 수교 이후 친중 정책 진행
    주요 이슈 미국-중국 간 영향력 경쟁, 운하 운영권 문제, 경제 성장 둔화

     

    중국의 파나마 경제 장악 시도

     

    중국은 2017년 이후 파나마 주요 경제 인프라에 집중 투자하며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해 왔습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 파나마시티~다비드 고속철도 건설 (약 40억 달러 규모)
    • 가스 화력발전소 건설 (약 10억 달러 규모)
    • 운하 제4 대교 건설 프로젝트 (약 14억 달러 규모)
    • 아마도르 반도 유람선 터미널 및 중국 대사관 건립 프로젝트

    항만 및 물류 인프라 투자

     

    • 홍콩 CK 허치슨 홀딩스 계열사, 파나마 운하 양쪽 입구(발보아항, 크리스토발항) 운영
    • 중국 국영기업의 항구 개발 및 컨테이너 터미널 건설

    경제·교육 분야 영향력 확대

     

    • 중국 국유은행을 통한 파나마 내 금융 시장 확대
    • 공자학원 설립 및 교육·문화 교류 확대
    • 장학금 제공 및 파나마 주요 가문 인사 초청

    4. 파나마와 미국의 대응

     

    미국은 파나마가 중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운하를 되찾기 위해 군사적 옵션도 고려할 수 있다”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이에 따라 파나마 정부는 중국과의 협력 축소를 선언하고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5. 결론

     

    파나마 운하는 미국과 중국 간 지정학적 경쟁의 최전선으로 떠올랐습니다. 중국의 경제적 침투와 군사적 활용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미국이 강경 대응에 나서면서 향후 미·중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FAQ

    Q1. 왜 파나마 운하가 중요할까요?

    파나마 운하는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주요 해상 무역로로, 미군의 전략적 이동세계 물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2. 중국은 왜 파나마에 투자했나요?

    중국은 파나마를 통해 해상 실크로드의 거점을 확보하고, 미국과 중남미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Q3. 미국의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요?

    미국은 파나마 정부를 압박해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축소하도록 유도하고, 군사적 대응 가능성을 시사하며 견제하고 있습니다.

     

    Q4. 중국의 채무 함정 전략이란?

    중국이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상대국을 경제적으로 종속시키고, 빚을 갚지 못할 경우 주요 시설의 운영권을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Q5. 앞으로 파나마의 입장은?

    파나마는 미국의 압박 속에서 중국과의 협력을 줄이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으며, 운하 운영권 문제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