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한국인에게 짜장면은 단순한 음식 그 이상입니다. 졸업식이나 특별한 날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짜장면은 중국의 춘장 요리에서 출발했지만, 한국적인 특성을 더해 전혀 다른 음식으로 진화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짜장면의 기원과 한국화된 과정, 그리고 이 과정이 역사와 문화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중국 춘장의 기원과 짜장면의 탄생

     

    짜장면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의 '작장(炸醬)'을 살펴봐야 합니다. 작장은 산동반도 요리의 핵심 재료로, 볶은 대두와 밀가루를 기반으로 한 소스입니다. 이는 중국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며 베이징의 작장면(炸醬麵)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19세기 말, 산동반도의 옌타이(연태, 烟台) 등지의 요리사들이 베이징으로 이주하면서 작장면이 퍼졌고, 이를 통해 짜장면의 필수 재료인 춘장의 기틀이 마련되었습니다. 한국에 도입된 이후 춘장은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달콤한 소스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연태의 위치(제주도보다 가까운 산동반도)

    ※ 짜장면 유래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

    너나없이 모르는 짜장면 출생의 비밀(조선일보)

    짜장면의 유래와 역사 및 짜장면에 관한 이야기(오박사의 요리연구소) 

    짜장면(=자장면) 기원,유래 및 중국식 짜장면과 차이점은?


    2. 짜장면의 한국 도입: 임오군란과 짜장면의 시작

     

    한국에서 짜장면이 처음 등장한 시점은 1882년 임오군란 당시였습니다. 조선 고종이 군란을 진압하기 위해 청나라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였고, 이에 따라 산둥성 연태에 주둔하던 청나라 병사 3,000명이 인천 제물포로 파병되었습니다. 이들 병사와 함께 따라온 요리사들은 청나라에서 유행하던 작장면(炸醬麵)을 가져왔습니다.

    작장면은 산둥 요리의 일종으로, 면에 볶은 된장 소스를 비벼 먹는 간단한 음식이었습니다. 당시 작장면은 군인들과 함께 온 요리사들에 의해 주로 중국인 노동자와 상인들의 식사로 제공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조선에서도 일부 상류층이 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작장면은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되며, 오늘날의 짜장면으로 발전하는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중국 화교들이 식당을 운영하면서 짜장면이 점차 퍼지게 되었고, 이는 한국 중화요리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 임오군란(壬午軍亂, 1882년): 조선 고종 시기 구식 군대의 불만에서 시작된 저항이었습니다. 당시 조선은 재정난으로 인해 구식 군대(무위영, 장어영)에 대한 급료와 식량 지급이 수개월 동안 미뤄졌습니다. 반면, 신식 군대인 별기군은 일본의 지원을 받아 충분한 보급을 받았기 때문에 구식 군인들의 불만이 극에 달했습니다. 결국 1882년 7월, 구식 군인들에게 썩은 쌀을 지급하자 격분한 군인들이 난을 일으켰습니다. 이들은 선혜청을 습격하고 정부 고관들의 집을 공격했으며, 당시 실권을 쥔 민씨 일파를 몰아내려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본 공사관도 습격당하고 일본인들이 살해되었으며, 민씨 가문 인사 일부가 피살되었습니다. 고종은 청나라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였고, 청군이 파병되어 군란을 진압하였습니다. 그 결과 조선은 청나라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으며, 일본은 배상금을 요구하는 등 조선의 자주권이 약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임오군란은 조선 후기 사회 불만과 외세 개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사건으로, 이후 갑신정변동학농민운동 등으로 이어지는 혼란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별기군


    3. 짜장면의 한국화: 춘장과 수타면의 변형

     

    짜장면은 한국에 도입된 후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화했습니다. 초기 중국의 작장(炸醬)은 짠맛이 강했지만, 한국에서는 설탕과 카라멜 색소를 첨가해 단맛을 강조한 춘장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는 한국식 짜장면의 핵심 요소가 되었습니다. 또한 면의 탄성을 높이기 위해 식용 가성소다(탄산나트륨)를 반죽에 사용하면서 면발이 더 쫄깃하고 탄력적이게 되었고, 노란색을 띠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짜장면을 더욱 대중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1950~60년대 한국전쟁 이후 미국의 밀가루 원조가 대량으로 이루어지면서 짜장면은 저렴하면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춘장의 변형과 수타면 기술은 짜장면을 한국식 음식으로 발전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습니다.

     

    짜장면 가격의 변화(짜장면박물관)


    4. 짜장면의 대중화

     

    일제 강점기 동안 짜장면은 주로 중국인들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고급 요리로 제공되었습니다. 이러한 '청요릿집'은 중요한 행사나 연회가 열리는 장소로 활용되었으며, 당시 조선인들에게는 가격이 높아 쉽게 접하기 어려운 음식이었습니다(네이버 블로그).

    특히, 공화춘(共和春)은 1905년 중국 산둥 출신 화교 우희광이 인천 차이나타운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중화요리 전문점입니다. 공화춘은 한국식 짜장면의 시초로 유명하며, 당시에는 고급 요리인 산둥식 작장면(炸醬麵)을 판매했습니다. 일제강점기 동안 공화춘은 주요 연회 장소로 활용되었지만, 해방 이후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춘장을 단맛 위주로 변형해 짜장면을 대중화시켰습니다. 현재 공화춘의 자리는 짜장면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짜장면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 남아 있습니다.

    한국 전쟁 이후, 미국의 밀가루 원조가 시작되면서 밀가루 기반 음식의 소비가 증가했습니다. 1954년 미국 의회에서 저개발 국가에 대한 식량 원조를 위한 공법 480조가 통과되었고, 이를 통해 미국의 잉여 농산물이 한국에 대량으로 유입되었습니다(조선일보). 이러한 밀가루의 대량 유입으로 인해 짜장면의 가격이 하락하였고, 일반 대중도 쉽게 즐길 수 있는 음식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중국 음식점에서 일본식 단무지(다쿠앙)를 반찬으로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짜장면과 단무지가 함께 제공되는 현재의 세트 메뉴가 형성되었습니다(네이버 포스트). 이러한 변화는 짜장면이 한국인의 일상적인 외식 메뉴로 자리잡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공화춘(짜장면박물관)


    5. 짜장면과 짬뽕의 차이와 짬뽕의 도입

     

    짜장면과 함께 인기 있는 메뉴인 짬뽕은 일본 나가사키의 화교들이 만든 음식으로, 이후 한국으로 도입되었습니다. 한국화 과정에서 고춧가루를 첨가해 매운맛을 더했으며, 이는 오늘날의 한국식 짬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반면 짜장면은 중국에서도 존재하지만, 한국식 짜장면은 한국 음식으로 분류될 만큼 독특한 정체성을 가집니다.

     

    출처: 면사랑(좌)과 짬뽕의 신화(우)

    ※ 상세한 비교

    짜장과 짬뽕, 그 뿌리를 짚어보다(면사랑)


    6. 짜장면이 가지는 문화적 의미

     

    짜장면은 단순히 한 그릇의 음식이 아닙니다. 한국에서는 가족과 함께하는 특별한 날, 졸업식이나 이사 등에서 함께 먹는 상징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상징은 짜장면을 단순한 중국 음식에서 벗어나, 한국인의 삶과 함께하는 음식으로 만들었습니다.

     

    짜장면의 종류와 조리법(짜장면 박물관)


    7. 마무리

     

    짜장면은 중국에서 시작된 요리지만, 한국에서 새로운 생명력을 얻었습니다. 춘장과 수타면이라는 전통적인 요소 위에 한국적인 맛과 문화적 배경이 더해져 오늘날 우리가 사랑하는 짜장면으로 완성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짜장면은 한국인의 삶 속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음식으로 남을 것입니다.

    반응형